전체 글22 명왕성은 행성인가? '수금지화목토천해명'을 들어 보셨나요? 네, 맞습니다. 태양계에 있는 행성의 앞글자만 따서 외우기 쉽도록 만든 워딩입니다. 그런데 얼마 전에 마지막에 있는 '명'이 빠져서 '수금지화목토천해'가 됐습니다. 명왕성은 어디 갔냐고요? 지금부터 설명드리겠습니다. 사실 명왕성은 이전부터 행성으로서 논란이 많았습니다. 크기와 공전 궤도가 다른 행성가 차이가 났기 때문입니다. 명왕성은 달의 2/3 크기로 공전궤도도 태양계의 다른 행성보다 약간 비스듬히 기울어져 있습니다. 특히 명왕성이 행성에서 빠지게 된 결정적 이유는 자신의 궤도 주위를 깨끗이 흡수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지구를 생각해보시면 공전궤도 상에 다른 행성이 존재하지 않아서 방해받지 않고 공전할 수 있고, 달 같은 공전궤도 상의 소행성을 자신의 하부 행성으.. 2019. 12. 31. 별을 관측하는 천문대 천문대는 어려 종류의 큰 망원경과 장비를 갖추고 천체 현상의 관측과 연구를 하는 곳입니다. 우리나라에서 제일 큰 천체 망원경은 경북 영천에 있는 보현산 천문대에 있는데 반사경의 지름이 무려 1.8m나 됩니다. 웬만한 성인보다 큰 사이즈이지만 이 정도에 놀라면 안됩니다. 하와이 마우나케아 산 꼭대기에 있는 '케크' 망원경은 지름이 10m나 됩니다. 세계에서 제일 큰 광학 망원경으로 케크1과 케크2라는 쌍둥이 망원경이죠. 혹시 눈치채셨나요? 대부분의 천문대는 산에 있습니다. 높으며 높을수록 공기의 영향을 덜 받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가장 높은 곳에 있는 망원경은 무엇일까요? 바로 우주 공간에 떠 있는 허블 우주 망원경입니다. 허블(1889~1953)은 은하 후퇴 운동을 발견해서 우주 팽창설의 기초를 세운 .. 2019. 12. 31. 북극성을 이용해서 방향 찾기 북극성은 북쪽 하늘에서 1년 내내 볼 수 있어서 북극성을 찾으면 방향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하늘에 있는 수많은 별 중에서 어떻게 북극성을 찾을 수 있을까요? 정답은 북두칠성이나 카시오페이아 자리를 찾으면 북극성을 찾을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북극성과 카시오페이아 자리는 어떻게 찾으면 될까요? 우선 북두칠성은 일곱 개의 별로 이루어진 국자 모양의 별자리입니다. 하늘에서 다른 별보다 밝게 빛나고 있기 때문에 조금 주의 깊게 찾아보면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습니다. 카시오페이아 자리도 W 모양으로 되어 있고 북두칠성 근처에 있기 때문에 비슷한 방법으로 찾을 수 있습니다. 이후에는 국자를 거꾸로 세운 모습의 북두칠성에서 가장 윗부분의 변을 중심으로 그 거리의 5배 되는 곳에 북극성이 있습니다. 또한.. 2019. 12. 31. 별에 관한 궁금증 하늘에 있는 아름다운 별들을 바라보고 있자면 문득 행복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는 보이는 별을 하나, 둘 세보기도 하는데요. 별은 몇 개일까요? 우주에는 천억 개 이상의 별이 존재합니다. 지구에서 맨눈으로 볼 수 있는 별의 개수는 6천 개 정도입니다. 하지만 우리가 볼 수 있는 하늘은 적도를 중심으로 천구의 반밖에 되지 않으므로 적도 반대편의 별은 볼 수 없지요. 그래서 망원경을 통해 볼 수 있는 별은 3천 개 정도랍니다. 참고로 천구란 천체의 거리와는 상관없이 관측자를 중심으로 위치만을 구에 나타낸 것입니다. 천체 망원경으로 별을 관찰하다 보면 별들이 흔들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천체 망원경 성능을 의심도 해보지만 사실은 지구의 공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으로 별이 반짝이는 것과도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2019. 12. 31. 이전 1 2 3 4 5 6 다음